목록주말 골퍼 활동기록 (4)
Latte golfer
프로들의 소식을 인스타그램으로 보다 보면 스윙 교정을 어떻게 하는지 단편적인 정보들을 얻을 때가 있다. 예를 들어 조던스피스가 교정했던 내용이 생각나는데 투어를 뛸 수록 점점 위크 그립(Weak grip)으로 변화해서 이를 스트롱 그립(Strong grip)으로 바꿨다는 것이다. 골린이던 싱글핸디캐퍼던 그립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많이 들었을 것이다. 나도 중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고 유투브나 인스타그램 등으로 독학해보았지만 설명을 들어도 와닿지 않는 것이 사실이다. 결국 나는 스트롱 또는 뉴트럴 그립 모양만 흉내내서 잡는 형편이고 아마도 다른 주말골퍼들도 그렇지 않을까 생각한다. 최근 골프 그립을 잡을 때 무엇을 생각해야 할까 정리해보았다. 그립 위치에 따라 Weak - Neutral - Strong, 잡는..
보통 스윙 교정은 현재 모습의 반대가 되도록 하면 된다고 한다. 예를 들어 나처럼 인투아웃 클럽패스를 가진 골퍼에게는 아웃투인 클럽패스가 되도록, 드로우구질을 페이드를 칠 수 있는 스윙으로 지도하면 된다. 따라서 내 경우도 페이드 구질의 스윙으로 교정하고 있다. 교정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미 교정한지 오래되긴 했지만 정리해보자면..) 그립은 스트롱 그립에서 뉴트럴 그립으로 팔로우까지 왼손목 힌지 각도 유지. 이전에는 보잉(Bowing, 손목을 안으로 꺽음)이었으나 교정 후는 약간의 커핑(Cupping, 손목을 바깥쪽으로 꺽음)으로 셋업도 조금 바꿨는데 드라이버 기준으로 오른쪽 어깨가 낮은 모습이었으나 왼쪽 어깨와 거의 평행하도록 세움 백스윙 시작은 인사이드, 다운스윙은 아웃사이드로 즉, 이전에는 ..

이 연습방법은 아주 오래 전에 연습장에서 혼자 해봤던 것인데 요즘 들어 다시 해보고 있다. 제목대로 인도어 연습장에서 실제 플레이했던 코스 중에 기억에 남는 홀들을 가상으로 플레이해보는 것이다.이 연습 방법을 누가 나에게 가르쳐 준 것은 아니고 혼자 스윙 자세 연습만 하는 게 심심해서 고안했던 방법이다. 몇 번 해보다가 한동안 그만두었는데, 우연히 골프 유투브에서 ‘말없는 레슨’ 홍순상 편(https://youtu.be/N3HxBrys67I)을 보고 투어프로들도 저런 연습을 하는 것을 알게 되었기도 하고, 또 최근 접했던 “Vision 54”라는 골프 티칭 개념에서 실전 같은 연습을 강조하는 것을 보고 확신을 가지게 된 연습방법이다. 참고로 “Vision 54” 란 애니카 소렌스탐의 코치였던 린 매리엇(..

나의 티쳐가 확인해준 내 스윙의 문제점들을 정리하면.. 어드레스(P1) : 보폭이 조금 좁고, 상체가 약간 서 있음. 반드시 교정할 사항은 아니나 아쉬운 부분 테이크 어웨이(P2) : 클럽이 약간 바깥쪽으로 빠짐. 상체 회전에 맞춰서 원을 그리며 안쪽으로 돌아 들어 오는 것이 바람직 백스윙 탑(P4) : 약간의 리버스 피벗(Reverse Pivot) 발생 다운스윙(P5) : 과도한 샬로우 발생. 왼손목의 보우잉(Bowing) + 오른쪽 팔을 몸통에 빠르게 붙이다 보니 클럽 헤드가 뒤로 쳐짐. 다운스윙~임팩트(P6~P7) : 뒤로 처진 클럽헤드를 회전시키기 위해 습관적으로 오른 다리의 힘을 이용하여 얼리 익스텐션(Early Extention)과 인투아웃 클럽패스(In-to-Out Club Path) 발생,..